여러분, 세상 모든 것이 그렇습니다. 처음에는 되게 어렵게만 느껴지고, 대단하게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패하는 거죠.
마지막으로 이 얘기를 해주고 싶어요. 이 세상은 무한 경쟁 사회라고들 하죠? 하지만 사실은 ‘그들만의 경쟁 사회’입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전 국민이 누구나 거친다는 수능에서도 열심히 하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여러분의 반에서 열심히 하는 친구가 몇 명이나 있었나요? 그게 바로 세상의 압축된 모습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음부터 포기합니다. 의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극소수죠. 마치 개미 사회와 비슷합니다. 개미 100마리를 모아놓으면 그중 30%만 일하고 나머지 70%는 논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그 30%만 따로 모아놓아도 그 안에서 다시 70%는 논다고 합니다. 세상도 이와 비슷합니다. 결국 이 세상은 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 사람들만의 리그입니다.
금수저만의 리그라는 말도 있죠? 하지만 그건 그렇게 하기 싫은 사람들이 자신의 부족함을 탓하기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일 뿐입니다. 세상은 금수저의 세상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처음부터 포기하거나 질에 겁을 먹고 아무것도 하지 않기 때문에 실패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열심히 해도 안 될 거야.”, “어차피 취업 안 되고, 좋은 학교를 나와도 취직이 안 된다더라.” 이런 부정적인 생각들로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막상 경쟁을 해보면, 실제 경쟁자는 많지 않습니다.
제가 학원 강사가 되었을 때 원장님들이 저를 만나면 면접에서 시간을 보지 않았습니다. 제 이력서에는 제가 살아온 과정과 학원 강사를 하고자 하는 이유를 상세히 적었거든요. 돈을 벌기 위해 강사를 하려는 게 아니라는 게 느껴졌을 겁니다. 그래서 원장님들로부터 직접 연락을 받았어요. “맥주 좋아한다고 적어놨던데 한잔하실래요?” 이런 식으로요.
제가 말하고 싶은 건, 경쟁자는 거의 없다는 겁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부터 포기하거나 스스로 기준을 낮춰버리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예계에서도 유재석처럼 되겠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은 드뭅니다. 대부분은 스스로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며 멈춥니다.
꿈이 크지 않으면 이룰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큰 꿈을 꾸기 전에 포기해버립니다. 스스로를 실패자로 규정하고 도전 자체를 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입시 문화가 만들어낸 큰 문제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입시 하나로 모든 것을 평가받으면서 20살이 될 때까지 자존감이 깎이고, 꿈을 꾸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걸 깨달아야 합니다. 하면 됩니다. 정말로 해보면 됩니다. 단, 단순히 결과를 바라보고만 있으면 안 됩니다. 수능을 보며 좌절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겠지만, 그 경험 자체가 여러분을 성장시킬 겁니다.
20대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무엇이든 해볼 수 있습니다. 도전도 하고, 실패도 하면서 스스로의 가능성을 발견하세요. 부모님께 더 이상 의지하지 않고 사회에 나가 부딪혀보세요. 단순히 취업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자신이 정말 해보고 싶은 것을 찾기 위해서요.
30대가 되면 가정이 생기거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꿈을 향해 무작정 도전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러니 20대에 많이 경험하고, 도전하세요. 그 과정에서 여러분은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수능 결과에 너무 연연하지 마세요. 수능을 잘 보면 물론 좋겠지만, 못 본다고 해서 인생이 끝나는 건 아닙니다. 그 경험이 여러분을 다른 길로 이끌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최선을 다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과 다릅니다. 스스로 하면 된다는 걸 느꼈잖아요? 그 자신감 하나로 멋진 20대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1년 동안 믿고 따라와 준 여러분에게 감사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뇌는 내가 생각하는 대로 증명한다 (0) | 2025.03.20 |
---|---|
오현호 (0) | 2025.02.10 |
행복한 인생을 위해 버려야 할 8가지 (0) | 2024.08.05 |
행복을 위해 버려야 할 29가지 습관 (0) | 2024.08.05 |
한 번만 먹어도 건강 망치는 음식 (0) | 2024.08.05 |